철학의 근본 물음 - 논리학의 주요 문제
철학이 근본적으로 묻는 것에 대한 끈질긴 물음
이 책은 하이데거가 1937년에서 1938년으로 넘어가는 겨울 학기에 프라이부르크대학교에서 매주 한 시간씩 14주에 걸쳐 행한 강의를 담고 있다. 여기서 하이데거는 철학이 근본적으로 묻는 것, 즉 본질로서의 참됨(진리)에 대해 끈질기게 물어나간다.
이 책의 서론에서 하이데거는 청중(독자)에게 철학의 본질을 암시하고, 그들을 철학의 근본 물음으로 인도한다. 미래의 철학의 묻는 태도와 어울리는 근본 기운은 존 Seyn(존재Sein의 옛말)와 관계하는 경포驚怖, 즉 놀라움과 두려움이다. 하이데거는 세계관이나 과학과 달리 철학은 직접적으로는 무용한 앎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배적인 앎이라고 규정하며 “논리학의 문제”, 즉 명제의 맞음을 뜻하는 참됨의 “문제”를 골라내고, 그 “문제”의 이면에 숨겨진 참됨의 본질에 대한 근본 물음을 부단히 물어나간다.
철학의 근본 물음 - 마르틴 하이데거 지음, 한충수 옮김/이학사 |
철학의 근본 물음에 대한 역사적 숙고
이 책의 본론의 제목은 "참됨에 대한 물음의 원론"이다. 참됨에 대한 전통 규정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으로부터 유래한다. 그 유래로 되돌아가는 것은 역사적 숙고로, 하이데거는 미래의 것에 대한 역사적 숙고와 과거의 것에 대한 역사기록학적 관찰을 원론적으로 구분한다. 참된 것의 본질인 맞음에 대한 물음은 본질의 참됨에 대한 물음으로, 즉 본질의 본질성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라톤의 규정에 대한 물음으로 변화한다. 아리스토텔레스가 참됨의 본질을 명제의 맞음으로 규정했을 때 그 근거로 제시한 것은 존재자의 숨김없음이었다. 숨김없음은 맞음보다 더 근원적인 참됨으로, 그리스인들은 숨김없음을 경험했지만 그것에 대해 묻지는 않았다. 그리하여 숨김없음은 매몰될 수 있었고, 맞음으로서의 참됨이 두드러지게 되었다. 우리가 역사적으로 서 있는 곳은 참됨의 역사의 첫 번째 시작의 끝이다. 이곳에서 우리는 다른 시작을 준비하기 위해 첫 번째 시작을 역사적으로 숙고해야 한다.
댓글 없음